도내 산부인과 없는 곳은 청양군과, 태안군 2개 지역
산후조리원, 도 공모사업이 바람직하다는 의견 제시돼
충남도가 설립을 추진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의 설립 방향과 규모, 시기 등이 제시됐다.

도는 18일 충남도서관 다목적실에서 김용찬 도 행정부지사와 자문 교수, 관계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분만 취약지역 출산 지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도내 민간 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청양과 태안 등 2개 지역이며, 분만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청양·태안·계룡·부여 등 6개 시·군, 산후조리원이 없는 곳은 10개 시·군으로 확인됐다.
분만산부인과는 천안 16곳을 비롯해 총 33곳, 산후조리원은 5개 시·군 16개소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도내 임산부 32.4%는 거주지 외 산부인과로, 7.9%는 타 시·도 산부인과로 이동, ‘원정 산전 관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7년 기준 1만 5670명의 산모 중 도내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는 4997명, 31.8%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73.4%, 농촌 지역은 평균 54.4%로 나타났다.
충남 여성 정책개발원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가 민선 7기 공약 사업으로 설립을 추진 중인 충남 공공산후조리원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원거리 산후조리 어려움 해소 △산후조리 비용 부담 경감 △공공산후조리 편의시설 및 올바른 산후조리 서비스 모델 제공 등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설치 시기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 불편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도록 연말까지 추진방안을 마련해 조속한 시일 내 시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추진 방식으로는 △도 공모 사업을 통한 재정 지원 및 시·군 협력 추진을, 설치 규모는 △설치 대상지 인근 시·군의 임산부 규모를 고려해 15∼20실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