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공공산후조리원 설립 방식 등 제시
상태바
충남 공공산후조리원 설립 방식 등 제시
  • 미디어 청양(media cheong yang)
  • 승인 2019.09.19 06: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일 ‘분만 취약지역 출산 지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도내 산부인과 없는 곳은 청양군과, 태안군 2개 지역
산후조리원, 도 공모사업이 바람직하다는 의견 제시돼

충남도가 설립을 추진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의 설립 방향과 규모, 시기 등이 제시됐다.

지난 18일 분만 취약지역 출산 지원을 위한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가 열려 설립을 위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지난 18일 분만 취약지역 출산 지원을 위한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가 열려 설립을 위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도는 18일 충남도서관 다목적실에서 김용찬 도 행정부지사와 자문 교수, 관계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분만 취약지역 출산 지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도내 민간 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청양과 태안 등 2개 지역이며, 분만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청양·태안·계룡·부여 등 6개 시·군, 산후조리원이 없는 곳은 10개 시·군으로 확인됐다.

분만산부인과는 천안 16곳을 비롯해 총 33곳, 산후조리원은 5개 시·군 16개소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도내 임산부 32.4%는 거주지 외 산부인과로, 7.9%는 타 시·도 산부인과로 이동, ‘원정 산전 관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7년 기준 1만 5670명의 산모 중 도내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는 4997명, 31.8%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73.4%, 농촌 지역은 평균 54.4%로 나타났다.

충남 여성 정책개발원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가 민선 7기 공약 사업으로 설립을 추진 중인 충남 공공산후조리원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원거리 산후조리 어려움 해소 △산후조리 비용 부담 경감 △공공산후조리 편의시설 및 올바른 산후조리 서비스 모델 제공 등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설치 시기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 불편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도록 연말까지 추진방안을 마련해 조속한 시일 내 시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추진 방식으로는 △도 공모 사업을 통한 재정 지원 및 시·군 협력 추진을, 설치 규모는 △설치 대상지 인근 시·군의 임산부 규모를 고려해 15∼20실을 제시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